幸せな人生に「夢」なんていらない
(행복한 인생에 “꿈”은 필요 없다: 행복의 관점을 다시 생각하는 스토아 철학)
浅桜 新 (아사쿠라 아라타)
フォレスト出版(포레스트출판)
316쪽
철학, 자기계발
2025/4
전세계에서 주목받는 실천 철학 ‘스토아 철학’을 스토리 형식으로 쉽고 풀어낸 안내서.
당신을 행복한 삶으로 이끄는 '행복의 관점'.
“왜 나만 잘 안 풀리고, 주변 사람들만 잘 되는 거야…” 꿈을 향해 노력하고 있지만 성과가 나지 않는 한 청년이 우연히 들른 ‘사우나’에서, 신비한 한 남자와 만나게 된다. “그래. 그러니까 너는 행복해질 수 없는 거야.” 도발적인 말을 던지는 남자와의 대화 속에서 청년은 남자가 말하는 ‘행복을 보는 관점’에 매료되어 간다.
지금 실리콘밸리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실천 철학이 바로 ‘스토아 철학’이다. 스토아 철학은 2000년 전 고대 그리스에서 태동하여 어떠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강인한 마음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철학 사상으로, 오늘날 자기계발 분야의 뿌리로도 평가받고 있다. 현실적이고 금욕적인 철학으로 잘 알려진 스토아 철학은 사실 한마디로 말하면 ‘행복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가르쳐주는 철학이다.
스토아 철학은 오랜 세월을 거쳐, 지금 다시 실리콘밸리와 전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혼란과 경쟁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진정한 행복으로 가는 실마리를 제시한다. 다만 원전은 난해한 문장과 표현이 많아 많은 이들이 중도에 읽기를 포기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그런 스토아 철학의 본질을 현대 사회의 한 청년의 이야기 속에 녹여낸 ‘스토리텔링형 철학 입문서’로, 누구나 쉽게 읽고 깊이 있는 삶의 힌트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 ‘꿈’의 정체는 무엇인가
- ‘지금’이라는 시간을 다루는 기술
- 목표는 필요하지만, 꿈은 필요 없다
- 꿈 없이도 목표를 세우는 법
- 인생에서 ‘위험’이 주는 가치
- 한정된 ‘시간’을 제대로 쓰는 방식
- ‘이별의 슬픔’과 마주하는 방법
행복한 삶을 위해 ‘목표’는 필요하지만, ‘꿈’은 필요 없다. 꿈을 가지고 살면 행복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당연하다고 여긴 상식을 가뿐히 뒤집어주는 스토아 철학을 이해하면, 나만의 ‘행복을 바라보는 시선’을 새롭게 얻고 앞으로의 삶을 마음껏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제1장: 우리, 아직 진심을 다하지 않았을 뿐일까?
제2장: ‘행복을 보는 관점’을 알면, 인생이 달라진다
제3장: ‘꿈’의 정체
제4장: ‘인생의 불안’을 없애는 방법
제5장: ‘지금’을 다루는 기술
제6장: 목표는 필요하지만, 꿈은 필요 없다
제7장: ‘꿈’에 집착한 사람의 말로
제8장: 올바른 길은, 남이 평가하는 길이 아니다
제9장: 꿈 없이 목표를 세우는 방법
제10장: 자신의 반응이 그 의미를 결정한다
제11장: 인생에서 ‘위험’이 가진 가치
제12장: 한정된 ‘시간’을 활용하는 방법
제13장: ‘분노’는 위험한 욕망이다
제14장: 우리는 이미 ‘자유’를 손에 넣었다
제15장: ‘이별의 슬픔’을 마주하는 법
저자 아사쿠라 아라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스토아 철학 연구자. 후쿠오카현 출신. 애니메이션 제작과 동시에, 서양 철학, 특히 고대 그리스·로마에서 탄생한 스토아 철학을 연구해온 시민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와세다대학교 교육학부를 졸업한 뒤, 캐릭터 비즈니스와 애니메이션 제작 및 프로듀싱에 종사하며 수많은 각본 제작에 참여, 다양한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을 세상에 선보여왔다. 그는 캐릭터와 애니메이션, 그리고 철학 모두가 인간의 마음을 위로하고 감동을 주는 사상적 표현 방식이라고 생각하며, 어렵게 느껴지기 쉬운 철학을 ‘내일을 살아가기 위한 실천적 엔터테인먼트’로 전달하는 데 힘쓰고 있다. ‘행복’, ‘꿈’, ‘감정’, ‘생명’ 등 인간의 본질적인 주제를 철학을 바탕으로 쉽게 해석하고 풀어내는 데 정평이 나 있다. |